울산시립미술관

언어선택 닫기

검색창

통합검색 검색창 닫힘

소장품/아카이브

소장품

소장품/아카이브소장품

소장품/아카이브

소장품

백남준 | 거북 | 1993

등록된 작품이 없습니다.
작가명 백남준Paik Nam-june
작품명 거북
제작년도 1993
재료 영상 설치; 3채널 영상, 컬러; TV 모니터 166대, 재생장치 3대, 영상 분배기, 철 구조물
규격 150×600×1000cm
부문 뉴미디어
관리번호
전시상태

백남준(1932~2006)은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미술사와 미학, 음악학을 공부했으며, 1956년 독일로 떠나 뮌헨대학교에 입학해 음악학과 미술사를 공부했다. 1957년 프라이부르크 고등음악원에서 작곡을 배웠으며, 1958년 다름슈타트 국제 현대음악강좌에서 존 케이지를 처음 만났다. 1959년 뒤셀도르프 갤러리 22에서 그의 첫 작품인 〈존 케이지에 대한 경의: 테이프와 피아노를 위한 음악〉를 초연했고, 1961년 조지 마키우나스를 만나 플럭서스(Fluxus)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서 음악, 퍼포먼스, 비디오아트를 결합한 선구적 실험예술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1964년 뉴욕으로 이주해 활동했으며, 샬롯 무어만과 함께 <오페라 섹스트로니크>(1967) 공연 중 음란죄로 경찰에 연행되는 등 센세이셔널한 행보를 이어나갔다. 1979년부터 1995년까지 독일 뒤셀도르프 미술아카데미 교수로 재직했으며, 1984년 뉴욕과 파리, 베를린, 서울을 연결하는 최초의 위성중계 작품 <굿모닝 미스터 오웰>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993년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에 독일관 작가로 참여해 황금사자상을 수상했고,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개관에 크게 기여했다. 1995년 한국 호암재단 호암상, 1997년 독일정부 훈장인 괴테 메달을 받았다. 1999년 독일 『카피탈』지 선정 세계 100대 작가 중 8위에 올랐으며, 2000년 한국정부의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0년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이 열렸다. 2006년 마이애미에서 타계했으며, 2008년 10월 경기도 용인시에 백남준 아트센터가 개관했다.


백남준은 비디오아트의 선구자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폭넓은 그의 작업 전반은 단순히 비디오아트로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백남준의 초기 작업은 전위음악에서 비롯된 실험행위였다. 그는 전자매체와 퍼포먼스를 통해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독일을 시작으로 유럽과 미국을 오가며 활동했지만 백남준의 작업에서 동양적인 요소는 자신의 뿌리를 잃지 않으면서 동서양의 조화를 이루는 고유한 상징과도 같았다. 그는 TV부터 레이저까지 새로운 미디어를 예술의 영역에 도입하는 데 거리낌이 없었으며, 언제나 기존의 관습과 제도적 의미에서의 예술을 총체적으로 해체하고자 했다. 동양과 서양, 이미지와 오브제, 디지털과 아날로그, 고급예술과 대중예술, 문명과 자연 등 이분법적 경계를 넘어 ‘탈영토화’를 꿈꿨던 백남준은 모든 창조적 사유가 도달할 수 있는 무한한 자유를 위해 쉼 없는 노마드적 삶을 실천하며 현대예술의 영역을 확장한 선각자였다.


<거북>은 거북이의 형상을 띤 철 구조물에 156개의 TV모니터가 부착된 가로 10미터, 세로 6미터의 초대형 비디오 설치 작품이다. 거북은 예로부터 장수, 영생을 상징하는 길한 존재로, 물과 육지를 자유롭게 오가며 살아갈 수 있는 동물이다. 백남준은 영예의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던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출품하기 위해 알렉산더 대왕, 징기스칸 등 세계적인 영웅들을 모티프로 시리즈를 제작하던 시기, 한국의 영웅인 이순신의 ‘거북선’에서 영감을 얻어 이 작품을 구상했다. 모니터 속 영상들도 거북선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동양의 전통적 상징성과 한국의 민족적 함의를 갖는 거북을 비디오아트로 재현한 이 작품을 통해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문물을 조화롭게 결합하는 백남준 특유의 미학적 태도와 시시각각 변화하는 영상의 다채로움을 느낄 수 있다. 수륙양생과 영생이라는 거북의 상징처럼 백남준의 작품은 언제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우며, 그의 예술적 성취는 영원히 지속될 것이다.




○ 참고문헌

백남준아트센터. (https://njp.ggcf.kr/)

김찬동, “백남준의 세계: 가변성과 비결정성, 그리고 탈영토화”, 『문화예술』 vol.320 (2006): 119-23.

정보담당자담당부서 : 울산시립미술관 연락처 : 052-229-8423, 842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