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에게 더 가깝게! 지역을 더 안전하게! 시민과 함께 하는 자치경찰

언론·보도자료

[울산자치경찰위원회] 알림마당 > 홍보자료 상세보기
제목 [울산매일] 울산 경찰 인력 '칼질'···치안공백 우려
작성부서 자치경찰정책과
작성일자 2025.08.18
조회수 30

정부가 경찰 조직 개편을 명분으로 울산경찰청 정원을 95명 줄이기로 하면서 지역 치안 공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울산은 전국 평균보다 경찰 1인당 담당 인구가 낮지만, 대규모 산업단지와 항만, 외국인 노동자 밀집 등 복합적인 치안 수요를 가진 도시다. 그럼에도 단순 통계에 기초한 인력 '칼질'은 산업도시 울산의 특수성을 외면한 결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경찰 2025년 하반기 정원 조정안에서 울산청은 정원 2,750명에서 95명이 줄어든다.

2024년 기준 울산경찰 1인당 담당 인구는 385명으로 전국 평균 394명보다 다소 낮았다. 또 112 출동 상황, 치안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95명을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줄인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경찰 조직 개편안이 나오자 경찰 안팎에서는 기동순찰대 인력이 수사팀 인력으로 재배치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현장 대응 부서 인력은 그대로 두고 나머지 부서들에 대한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일선 경찰 사이에서는 '산업도시 울산의 특수성을 외면한 결정'이라는 불만이 나온다.

울산은 노사 갈등, 산업재해, 외국인 범죄, 교통사고 등 특수한 치안 수요가 다른 지역보다 큰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도농복합도시인 울산은 울주군의 치안 수요도 고려해야 한다. 울주군은 경찰 담당관 1명의 관할 면적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경찰 인력 배치도 민생 치안 중심으로 편성돼있는 상황에, 더 줄일 부서가 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민 불안도 확산되고 있다.

울산 동구의 한 주민은 "밤길 안전이나 신고했을 때 신속히 출동해주는 게 더 절실하다"라며 "정부가 책상 위 통계만 보고 정책을 세운 건 아닌지 걱정된다"라고 말했다.

경찰 조직 개편을 명분으로 한 이번 인력 감축은 단순한 행정 효율화 조치가 아니라, 시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다. 정부가 지역 특성과 치안 수요를 외면한 채 '획일적 숫자 맞추기'에 몰두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올 수밖에 없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때문에 '인력 감축에 따른 부서 재배치'가 현장에서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 생기는 상황이다.

울산경찰청은 효율적인 인력 재배치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이 조직 진단 당시 울산의 특수성을 모두 고려한 것으로 안다"라며 "민생 치안과 직결된 분야에는 반드시 인력을 증원해 피해를 줄이겠다. 조직 효율화로 치안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강은정 기자 kej@iusm.co.kr

출처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https://www.iusm.co.kr)

정보담당자 담당부서 : 자치경찰정책과 연락처 : 052-229-8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