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각화란?

암각화란?

'바위그림'은 바위 위에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 그림을 아울러 부르는 용어로, '암각화(巖刻畵)'와 '암채화(巖彩畵)'를 모두 포함한다. 암각화는 바위그림 중에서도 특히 바위에 새겨진 그림을 가리키며 암채화는 바위에 채색한 그림을 말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암채화 유적이 발견된 적이 없어 '바위그림'과 '암각화'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암각화는 자연 바위에서뿐만 아니라 고인돌이나 선돌과 같은 거석(巨石) 유구나 제단 시설 등에서도 발견된다.

바위에 새겨진 글씨나 불상과 같은 역사시대의 유적은 바위그림이나 암각화라는 용어보다는 '마애불', '금석문', '각석(刻石)', '조각' 과 같은 용어를 사용해 부른다.
따라서 암각화는 문자 출현 이전, 선사시대에 제작된 바위그림 중에서 새긴 그림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 돌연모로 쪼아 새긴 그림

    돌연모로 쪼아 새긴 그림

  • 금속도구로 그어 새긴 그림

    금속도구로 그어 새긴 그림

 

우리나라에서 암각화가 처음으로 학계에 알려진 것은 1970년부터이다.

암벽에 새겨진 암각화는 인근 주민들에 의해 이미 오래 전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었으나, 그때까지는 선사시대의 유적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었다. 1970년 12월 24일 울주 지역 불교유적 조사를 실시하고 있던 동국대학교박물관 조사단은 원효대사가 머물던 것으로 알려진 반고사지(盤皐寺址)를 찾기 위해 반구대를 방문하였다. 이때 마을 주민 최경환 씨의 안내로 천전리 암각화(울주 천전리 각석)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이 보도되어 암각화의 존재가 비로소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 이듬해인 1971년에는 문명대, 김정배, 이융조 교수 등이 천전리 암각화를 다시 조사하기 위해 방문하였다. 문명대 교수의 회고에 따르면 주민들은 반구대에서 1㎞쯤 하류에 '호랑이 그림'이 그려져 있다는 것을 알고 조사를 요청했다고 하며, 조사단은 이를 살펴보기 위해 최경환 씨와 손진봉 씨의 도움을 받아 사연댐 상류 지역의 바위면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로 1971년 12월 25일에는 대곡리 암각화(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가 발견되었다. 이후 전국에 걸쳐 암각화가 발견되어 현재 약 30여 곳의 유적이 확인되고 있다.

천전리 각석 발견 당시 사진 (집청정 제공)

천전리 암각화 발견 당시 사진 (집청정 제공)

담당부서 : 반구천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 / 담당자 : 이하나 / 연락처 : 052-229-4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