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홈  열린광장 신기술정보

신기술정보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작성자,작성일자,첨부파일,내용을 포함한 표
“합성생물학 활용” 담뱃잎에서 식의약 소재 생산 성공
작성자 남준규
작성일자 2025-02-21
첨부파일 17-1_합성생물학활용담배식물체에서식의약소재생산성공(농과원).pdf 17-1_합성생물학활용담배식물체에서식의약소재생산성공(농과원).pdf  (467.1KByte)

- 담뱃잎에서 혈관 강화제 ‘디오스민’, 항산화 소재 ‘크리소에리올’ 생산

- 합성생물학 분야 원천기술 확보, 국내 바이오산업계에 기술적 뒷받침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생명과학 기술에 공학적 설계를 결합한 합성생물학 기술을 담뱃잎에 적용해 혈관 강화제 ‘디오스민’과 항산화 소재 ‘크리소에리올’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생물학 기술을 담뱃잎에 적용해 생체중량 1그램당 38마이크로그램(㎍)의 디오스민과 건조중량 1그램당 70마이크로그램의 크리소에리올을 생산하는 기반 기술을 구현한 것은 세계 최초다.

합성생물학은 생물의 대사 시스템을 공장의 공정처럼 설정하고 블록처럼 유전자를 필요에 맞게 재설계, 조립해 원하는 물질을 생산하거나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연구진은 대사경로 재설계와 다중 유전자 조립이라는 합성생물학 기술을 적용해 담배(Nicotiana benthamiana)의 잎에서 디오스민*과 크리소에리올**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디오스민: 감귤류 추출 헤스페리딘으로부터 반합성 기술로 생산하는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 혈관 강화제로 치질이나 하지정맥류 치료에 활용하며 전량 수입에 의존함.

**크리소에리올: 항산화, 항염, 항암 등 인체 유용 생리활성 물질

또한, 대사경로를 재구성해 디오스민 생합성에는 10개의 유전자 조합이 필요하며, 크리소에리올 대사경로 구성에는 기존 8개 유전자 중 5개만 있어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아그로박테리움법*을 이용해 재구성한 디오스민과 크리소에리올 대사경로를 담뱃잎에 일시적으로 발현시켜 디오스민과 크리소에리올을 생산했다.

*식물 병원균인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tumefaciens)을 이용해 식물세포에 유용한 유전자를 이식하는 방법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Plant Science(IF 5.6)에 논문으로 게재됐으며, 재설계한 대사경로를 포함한 디오스민, 크리소에리올 생산 방법은 각각 특허출원*했다.

*재설계된 크리소에리올 대사경로를 포함하는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생산 시스템(10-2022-0073777) / 생합성 경로 재구성을 통한 디오스민 생산 방법(10-2024-0118864)

한편, 항산화, 항암,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식물의 이차대사물질은 식·의약 소재로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기존 방식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거나 합성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생산 방법 도입이 필요하다.

농촌진흥청 생물소재공학과 이시철 과장은 “식물 합성생물학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로 생산까지 성공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라며, “이번 기술 개발로 국내 바이오산업계를 기술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담당부서 : 농업지원과 / 연락처 : 052-229-5295
만족도 체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별5점     별4점     별3점     별2점     별1점   
평점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