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중심의 대기업과 관련 중소기업 다수 입주
• 화학 및 에너지산업 관련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 다수 보유
• 강소연구개발특구 및 도심융합특구 등과 산업·연구 인프라와 연계한 시너지 창출
투자환경(2024년 11월 8일 기준)
울산의 우수한 산업 인프라
경제자유구역만의 인센티브 제공
• 조세감면 : 취득세 및 재산세 감면
• 핵심전략산업 기업 경자구역 내 입주 시 조성원가 이하 분양, 국공유재산 수의계약 허용, 임대료 감면 및 50년 장기 임대 허용 등
• 핵심전략산업 기업 경자구역 내 입주 시 조성원가 이하 분양, 국공유재산 수의계약 허용, 임대료 감면 및 50년 장기 임대 허용 등
수소산업 혁신생태계인프라 구축
• ‘2030 세계 최고 수소도시’ 비전 선언, 동북아 에너지허브 조성
• 수소 생산 78만톤/년, 수소배관망 198.5㎞, 수소충전소 13개소
• 세계 최초 탄소중립형 수소아파트 437세대
• 수소 생산 78만톤/년, 수소배관망 198.5㎞, 수소충전소 13개소
• 세계 최초 탄소중립형 수소아파트 437세대
이차전지 산업 원스톱 전주기 지원망 구축
• 이차전지 종합지원센터 건립(2028년 준공), 산업협력 생태계 강화
• 미래형 전지 특화 강소연구개발특구와 연계 연구 및 실증 지원체계 강화
• 소재부품-전지제조-연구지원 연계를 통한 이차전지 산업 거점조성
• 미래형 전지 특화 강소연구개발특구와 연계 연구 및 실증 지원체계 강화
• 소재부품-전지제조-연구지원 연계를 통한 이차전지 산업 거점조성
미래모빌리티 환승·연계체계 구축
• 울산역 복합환승센터와 연계 교통 연계축 확장
• 울산형 도심항공교통 육성을 통한 도심항공교통(UAM) 선도
• 도심항공 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 울산형 도심항공교통 육성을 통한 도심항공교통(UAM) 선도
• 도심항공 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울산지역 경제특구 지정
•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울산 울주 강소특구, '암모니아 벙커링 규제자유특구' 후보특구 선정
• 기회발전특구 지정
- 울산·미포국가산단, 온산국가산단, 울산하이테크밸리 일반산단, 울산북신항 및 항만배후단지 등 420만㎡(전국 최대 규모)
- 투자 선도 기업으로 현대자동차, 삼성SDI, 에쓰오일, 고려아연, LS MnM, SK가스, 롯데SK에너루트 등 11개사 참여, 총 22조원 투자계획
• 기회발전특구 지정
- 울산·미포국가산단, 온산국가산단, 울산하이테크밸리 일반산단, 울산북신항 및 항만배후단지 등 420만㎡(전국 최대 규모)
- 투자 선도 기업으로 현대자동차, 삼성SDI, 에쓰오일, 고려아연, LS MnM, SK가스, 롯데SK에너루트 등 11개사 참여, 총 22조원 투자계획
수소관련 R&D지원기관
• 차세대 수소융합기술연구소 : 수소관련 연구개발 실증
• 수소연료전지 실증화센터 : 수소연료전지 개발 및 실증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
• 수소연료전지 실증화센터 : 수소연료전지 개발 및 실증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
에너지분야 전문인력 양성기관 보유
UNIST, 울산대학교, TP 등 에너지 교육기관 입주로 전문인력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