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곡’은 한실이라 불리던 마을로, 크다는 뜻의 대는 옛말이 ‘한’이며, 곡의 훈은 ‘실’이다. 따라서 ‘한실’은 큰 마을이란 뜻이다. 지금은 사연댐의 축조로 반구대의 북쪽을 제외하고는 마을이 수몰되어 다른 지역으로 옮겨 갔지만 옛날에는 큰 마을이 있었다. 지금도 남은 마을을 한실이라 부른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덕현리는 북쪽은 상운산과 이천리, 동쪽은 궁근정리, 남쪽은 양등리, 서쪽은 가지산과 접한다. 특히 가지산과 쌀바위, 운문재, 삽재, 구름재 등 고개[재]가 많아 계곡이 깊고 물이 맑으며 산세가 수려하다. 덕현리에서 경주 산내면으로 넘어가는 소호재의 문복로와 운문령을 넘는 고갯길인 운문로 역시 덕현리를 지난다. 밀양으로 넘어가던 구름재는 터널이 뚫린 후 이용도가 낮아지고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이천’의 순우리말 이름은 ‘배내’이다. 옛 지명에서 ‘배’는 산을 뜻한다. ‘내’는 시냇가 또는 마을을 뜻하므로 ‘배내’는 산골 마을이란 뜻을 담고 있다. 북쪽에 능동산이 있고, 서쪽에 천왕산, 서남쪽에 재약산, 동북쪽에 배내봉, 동쪽에 간월산, 남동쪽에 신불산이 병풍처럼 둘러싼 형국이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가천리는 본래 ‘가을천’이라는 지명에서 출발하였다. ‘가을천’은 ‘들내’를 이두로 쓴 것이다. ‘들내’란 들마을의 뜻을 담고 있는 순우리말 이름이다.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을천’에서 ㄹ에 해당하는 ‘을’을 빼고 ‘가천’으로 불렀다고 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