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이 얼마나 많이 나가나’ 보다 ‘체지방이 얼마나 필요 이상으로 많이 쌓여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 정확한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임
이차성 비만 : 유전질환, 선천성 질환, 신경내분비계 질환, 정신질환, 약물 등으로 유발
분류 | 체질량지수(kg/㎡) | |
---|---|---|
저체중 | < 18.5 | |
정상 | 18.5 ∼ 22.9 | |
비만전단계 | 23.0 ∼ 24.9 | |
비만 | 1단계 비만 | 25.0 ∼ 29.9 |
2단계 비만 | 30.0 ∼ 34.9 | |
3단계 비만(고도비만) | ≥ 35.0 |
구분 | 비만 예방 | 비만 관리 |
---|---|---|
목적 | - 지역사회 내 환경을 비만예방 중심으로 개선 -지역주민 전체 또는 생애주기별, 생활터별 사업 대상자에게 비만의 위해성과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킴 |
- 과체중 혹은 비만의 위험요인을 가지거나, 비만한 개인(인구집단) 에게 체중관리 및 관련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 |
사업 유형별 운영방안 | - (환경조성) 물리・제도적 등의 환경조성 - (예방교육) 개인 혹은 집단 특성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홍보・캠페인) 온・오프라인 홍보 캠페인 |
- (교육・상담) 영양 및 신체활동, 행동조절 등을 활용한 중재프로그램 운영 - (연계) 취약계층 및 비만관리가 필요한 대상자 발굴, 비만 합병증을 가진 위험군에 대한 보건소 내・외 프로그램 연계 |
정보담당자담당부서 : 시민건강과연락처 : 052-229-3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