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비만예방관리

  • 건강도시
  •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 건강생활실천사업
  • 비만예방관리

목적

  • 지역주민의 건강생활실천 향상을 통한 건강(적정)체중 유지

정의

  •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대사 장애가 유발된 상태

‘체중이 얼마나 많이 나가나’ 보다 ‘체지방이 얼마나 필요 이상으로 많이 쌓여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 정확한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임

원인

  • 비만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비만과 이차성 비만으로 분류되나, 전체 비만의 90% 이상이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된 일차성 비만에 해당

    이차성 비만 : 유전질환, 선천성 질환, 신경내분비계 질환, 정신질환, 약물 등으로 유발

  • (개인적 요인) 연령, 성, 유전적 소인, 생리적 요인(호르몬, 대사율), 행동, 태도, 신념
  • (매개적 요인) 생활습관과 관련 ∙ 고열량음식 / 설탕,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 알코올 섭취 / 대용량의 일회섭취분량 ∙ 에너지 소비를 낮추어 주는 전기제품, 자동차 이용 / 수동적 여가를 촉진하는 TV 시청 등
  • (환경적 요인) 물리적 환경, 경제적 환경, 정책적 환경, 사회문화적 태도, 신념, 인식과 가치

비만 판정 :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등을 활용

  •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kg/㎡)
체질량지수
분류 체질량지수(kg/㎡)
저체중 < 18.5
정상 18.5 ∼ 22.9
비만전단계 23.0 ∼ 24.9
비만 1단계 비만 25.0 ∼ 29.9
2단계 비만 30.0 ∼ 34.9
3단계 비만(고도비만) ≥ 35.0
  • 허리둘레 : 남자 허리둘레 90㎝(35인치) 이상, 여자 허리둘레 85㎝(33.5인치) 이상

사업

사업
구분 비만 예방 비만 관리
목적 - 지역사회 내 환경을 비만예방 중심으로 개선
-지역주민 전체 또는 생애주기별, 생활터별 사업 대상자에게 비만의 위해성과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킴
- 과체중 혹은 비만의 위험요인을 가지거나, 비만한 개인(인구집단) 에게 체중관리 및 관련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
사업 유형별 운영방안 - (환경조성) 물리・제도적 등의 환경조성
- (예방교육) 개인 혹은 집단 특성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홍보・캠페인) 온・오프라인 홍보 캠페인
- (교육・상담) 영양 및 신체활동, 행동조절 등을 활용한 중재프로그램 운영
- (연계) 취약계층 및 비만관리가 필요한 대상자 발굴, 비만 합병증을 가진 위험군에 대한 보건소 내・외 프로그램 연계

홍보

  • 비만예방관리 홍보동영상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홈페이지 → 자료실 → 홍보자료 → 검색

워크온 챌린지 참여(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운영)

  • 운영기간 : 2025.3.4.~2025.4.3.
  • 참여방법 : 워크온 어플리케이션 설치(구글 플레이(안드로이드) 또는 앱 스토어(iOS)에서 ‘워크온’ 설치) → 회원가입 후 지역 설정 → 챌린지 참여 → ‘가볍게’챌린지 선택(일상에서 걷고, 물을 마시고, 나트륨·당·지방 줄이자)

정보담당자담당부서 : 시민건강과연락처 : 052-229-3532

(44675)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Ulsa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 052-120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전자우편주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무단 수집을 거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