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으로 섭취 된 당분이 우리 몸에서 영양분으로 흡수되도록 인슐린이란 호르몬이 췌장에서 분비된다. 이 인슐린 작용에 이상이 생기면 포도당이 세포내로 흡수 되지 못하고 혈액 내에서 상승하여 고혈당이 된다
테이블을 좌우로 드래그해주세요.
구분 | 제1형 당뇨병(인슐린의 의존성 당뇨병) | 제2형 당뇨병(인슐린의 비의존성 당뇨병) |
---|---|---|
발생연령 | 10대 전후 | 40대 이후 |
체중 | 과체중이 아님 (마른체격) | 일반적으로 과체중 |
초기증상 | 갑자기 나타남 | 무증상 서서히 나타남 |
인슐린 생산 | 생산되지 않음 | 소량 생성 또는 작용이 제대로 되지 않음 |
인슐린 작용 | 분비세포 파괴에 의한 인슐린의 절대적 결핍 | 인슐린 민감도 감소에 따른 인슐린의 절대적 감소 |
관리 | 인슐린 주사, 식사, 약물요법 | 식이요법, 약물요법, 운동 |
발병률 | 전체 당뇨병의 10% | 전체 당뇨병의 90% |
임신성 당뇨병 : 임신 기간에 당뇨병으로 진단된 경우, 출산 후 20 ~ 25%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됨.
테이블을 좌우로 드래그해주세요.
공복혈당 | 2시간 혈당 | 진단 | |
---|---|---|---|
126mg/dl 이상 | 200mg/dl 이상 | 당뇨병 | |
126mg/dl 미만 | 140-199mg/dl | 내당능장애 | 당뇨병 전단계 |
100-125mg/dl | 140mg/dl 미만 | 공복혈당장애 |
혈액내 혈색소와 혈당의 결합된 정도, 검사일 기준 3개월 이내의 평균 혈당을 나타냄
당화혈색소 | 6% | 7% | 8% | 9% | 10% |
---|---|---|---|---|---|
평균혈당 | 126 | 154 | 183 | 212 | 240 |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
무증상 또는 3대 증상(다음, 다뇨, 다식), 체중감소, 피로감, 어지러움
구분 | 정상수치 | 조절목표 |
---|---|---|
공복혈당 | 70~100mg/dl | 70~130mg/dl |
식후 2시간 혈당 | 90~140mg/dl | 90~180mg/dl |
당화혈색소 | 5.7% 미만 | 6.5% 미만 |
정보담당자담당부서 : 시민건강과연락처 : 052-229-3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