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여름철 폭염 대응 건강관리

  • 건강도시
  •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 여름철 폭염 대응 건강관리

여름철 폭염 대응 건강관리

온열질환

  • (정의)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두통, 어지럼,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남
  • (분류)

테이블을 좌우로 드래그해주세요.

온열질환 분류
구분 주요특성
열사병
(Heat stroke)
  • 고열(>40℃)
  •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땀이 나는 경우도 있음)
  • 의식을 잃을 수 있음(중추신경 이상)
    *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음
열탈진
(Heat exhaustion)
  • 땀을 많이 흘림(≤40℃)
  • 힘이 없고 극심한 피로(탈수 및 전해질 소실)
  • 창백함, 근육경련
열경련
(Heat cramp)
  • 근육경련(어깨, 팔, 다리, 복부, 손가락)
열실신
(Heat syncope)
  • 어지럼증
  •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음(뇌허혈 상태)
열부종
(Heat edema)
  • 손, 발이나 발목이 부음
기타
  • 기타 열 및 빛의 영향
  • 상세불명의 열 및 빛의 영향

* 제8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8) 기준

온열질환에 취약한 대상

  • 노인, 어린이, 심뇌혈관질환자, 고혈압 환자, 저혈압 환자, 당뇨병 환자, 신장질환자, 기타(음주자, 장애인, 빈곤자, 노숙자, 독거노인 등 사회적으로 고립된 경우, 고온 환경에서 근무하는 경우 등)

폭염 대비 일반 건강수칙

  • 1시원하게 지냅니다.
    • 샤워를 자주 합니다.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습니다.
    • 외출 시 양산이나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합니다.
  • 2물을 자주 마십니다.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십니다.

      신장질환 등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하는 질병을 가진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합니다.

  • 3더운 시간대에는 활동을 자제합니다.
    •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작업, 운동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무릅니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를 조절합니다.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44675)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Ulsa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 052-120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전자우편주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무단 수집을 거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