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국가산업단지는 위험물시설의 집적화, 고밀화로 인하여 사고 발생 시 기업체간 연쇄적인 대형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으며 도시의 팽창과 산업단지의 확장으로 공단지역과 주거지역이 인접하게 되어 산업단지에서 사고 발생 시에는 시민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받게 될 가능성이 큰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이블을 좌우로 드래그해주세요.
구 분 | 위 치 | 조성기간 | 지정면적(천㎡) | 입주업체수(화학업체) | 가동업체수 | 고용현황(명) | 조성목적 |
---|---|---|---|---|---|---|---|
계 | 2개소 | 74,383 | 1,108 (308) |
912 | 102,710 | ||
울산미포 | 남구, 동구, 북구 일원 | 1962년 ~ | 48,444 | 787 (185) |
654 | 87,618 | 석유정제, 화학, 자동차 및 조선 등 중화학공업 육성 |
온산 | 울주군 온산읍 일원 | 1974년 ~ | 25,939 | 321 (123) |
258 | 15,092 | 비철금속, 정유 및 유류비축, 펄프화학 등 중화학단지 조성 |
[자료출처 : 한국산업단지공단 '23. 1월 국가산업단지 통계표 기준('23.3.15.)]
정보담당자담당부서 : 산업안전과담당자 : 김상원연락처 : 052-229-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