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집중안전점검 추진

  • 사회재난산업안전
  • 안전점검
  • 집중안전점검
  • 집중안전점검 추진

재난 및 사고 발생 우려가 있거나, 국민적 관심이 높은 시설물에 대하여 집중적인 안전점검을 통해
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굴‧해소 하고 국민 참여를 통한 안전의식 제고

추진개요

  • (기간) 4. 14. ~ 6. 13.(61일간)
  • (참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책임기관, 일반국민 등
  • (국민참여 확산)안전점검의 날과 병행하여 안전캠페인·자율안전점검 실천운동 등 다양한 안전문화 확산 운동 추진

    ※학원·목욕업 등 다중이용시설업협회 등과 가정 및 다중이용시설 자율안전점검표 배부 및 관리주체 비치

  • (점검대상) 최근 주요사고‧언론 분석을 통해 선정한 시설유형 및 해빙기 안전점검 필요 시설 등

    최근 주요사고·언론 분석을 통해 선정한 20개 시설유형 및 재난관리주관기관별 소관 시설 등

  • (주민신청 활성화) 안전점검 필요 시설 안전신문고 앱‧포털 활용, 방문 접수(구군 안전총괄과, 읍‧면‧동)

    주민점검신청제 오프라인 신청서 양식 다운로드

  • (점검방법) 구조물, 전기, 가스 등 분야별 취약요소 합동 점검

집중안전점검 과정

  1. 사전 준비(점검 7일 이전) 점검반 점검시설 현황자료 사전안내(시설현황, 이전점검 결과 등)
    현황 자료 및 점검가이드를 활용하여 중점 점검사항 파악
  2. 현장점검(당일) 민관합동점검 실시(점검가이드, 장비 활용)
    모바일앱 또는 포털에 점검결과 등록
  3. 위험도 평가(당일 지적사항에 대한 위험도 평가
  4. 후속조치(계속) 위험도 평가에 따른 보수·보강 등 조치계획 수립

중점 점검대상 시설 유형

  • 재난관리주관기관별 재난 및 사고 유형에 따른 소관 분야시설을 점검대상으로 선정(표1)
  • 재난 관련 언론·주요사고 분석 및 제도적 취약성 등을 고려 20종 시설유형 점검대상으로 선정(표2)

재난관리주관기관별 재난및사고유형(표1)

테이블을 좌우로 드래그해주세요.

재난관리주관기관별 재난및사고유형(표1)
구분 재난 및 사고 유형 비고
교육부 교육시설 및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사고  
과기부 1. 정보통신사고
2. 연구실에서 발생한 사고
 
법무부 법무시설에서 발생한 사고  
국방부 국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  
행안부 1. 정부중요시설 사고
2. 유도선 사고 3. 그 외 재난 및 사고
 
문체부 1. 경기장 및 공연장에서 발생한 사고
2. 야영장 사고
3.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사고
 
농식품부 농수산물도매시장 사고  
산업부 1. 가스 누출 사고
2. 전력 사고
 
복지부 1. 노인·아동·장애인 복지시설 사고
2. 의료기관 사고
 
환경부 1. 수질분야 환경오염 사고
2. 식용수 사고
3.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
 
고용부 산업재해 및 중대 산업 사고  
국토부 1. 건축물 붕괴 및 전도
2. 공항에서 발생하는 사고
3. 공동구 사고
4. 도로·터널 사고
5. 물류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 6.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 사고
 
해수부 1. 항만에서 발생하는 사고
2. 해양 사고
3. 해양오염 사고
해경청 공동
중기부 전통시장에서 발생하는 사고  
여가부 청소년 복지시설 및 수련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  
원안위 원자력 안전사고  
국가유산청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 시설 사고  
소방청 1. 화재·위험물 사고
2. 다중 밀집시설 대형화재
 

집중안전점검 주요시설 유형(20종) 표2)

테이블을 좌우로 드래그해주세요.

집중안전점검 주요시설 유형(20종) 표2)
연번 시설유형 선정사유
1 배터리 제조업체 [언론분석]리튬전지를 생산하면서도 화재 발생 시 대응방법, 대피경로 안전교육 부실
2 공장시설(산업단지 등) [언론분석]불법 컨테이너 등 소방기준 미적용으로 화재 위험성 증가
[주요사고]화재, 산업안전 등 주요 안전사고 최다 발생
3 폐기물 처리시설 [언론분석]무허가 폐기물업체 허가 조건인 화재 예방설비 없고, 소방점검 無
[주요사고] 경산 폐기물처리시설 화재 등 화재사고 다수 발생
4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언론분석]지정수량 10배 미만 취급 소규모 제조소 정기점검 의무 없어 안전 사각지대/ 위험물 무허가장소 등 불법행위 다수 적발
5 전통시장 [언론분석]전통시장 안전점검 123건 적발 구조·전기·가스·소방 관리 부실
6 공동주택 [언론분석]소규모 다세대주택 소방점검 제외, 30년 이상 소방설비 의무 제외
[주요사고]화재로 인한 사망, 부상 등 인명피해 최다 발생
7 주택 [언론분석]노후주택 전기점검 소홀, 누전 화재 무방비로 노부부 참변
[주요사고] 주거용 비닐하우스·컨테이너, 노후주택 등 화재 다수 발생
8 숙박시설 [언론분석]불법 숙박업(무허가·미신고) 안전관리 사각지대
[주요사고]안산·화성 모텔 화재 등 인명피해 다수 발생(사망자수 5위)
9 대규모점포
(백화점·대형마트·지하도상가)
[언론분석]아울렛 화재, 스프링클러 미동작 및 감시시스템 꺼져 있음‘제천화재 잊었나’ 경기도 대형몰 소방설비 불량
10 다중이용업소
(노래방, 목욕장업 등)
[주요사고]지하층 위치, 숙박제공 영업 등 소규모 다중이용업소는 화재 시 인명피해 우려가 높아 화재 예방을 위한 점검 필요
11 사찰 [언론분석]300㎡ 이하 사찰은 근린생활시설 소방시설 설치 규정을 적용받아 소화설비 설치 의무 없어
12 요양시설 [언론분석]절반 이상 고층 설치, 300㎡ 이하 스프링클러 제외 등 화재 사각지대
13 자동차 정비소 [주요사고]인화성 물질을 다루는 시설로 화재 다수 발생(주요사고 7건)
14 가축농장 [주요사고]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농장 특성상 화재 시 전소 가능성이 높아 화재 예방을 위한 점검 필요
15 하강레저시설 [주요사고]번지점프(고리미결착)·패러글라이딩(강풍으로 날개접힘) 중 인명피해 발생
16 공사현장 [언론분석]재개발 건설현장 관리 사각지대 위험(보행로, 통학로 등)
[주요사고]작업자 추락·깔림·끼임 등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 최다 발생(53명)
17 교량 [언론분석]유등교 양호등급, 물밑 점검 의무화 필요평창 교량 붕괴, 눈으로만 살펴보고 하부상태 미확인
18 저수지 낚시터 [언론분석]안전시설 없는 방갈로 다수 성업중, 취사시설 갖췄음에도 안전점검일지 전무
19 수상레저 시설 [언론분석]봄철 수상레저 장비관리 등 부실로 인한 사고 73.6%
20 어선 [주요사고]화재·전복·익수 등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 다수 발생
(44675)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Ulsa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 052-120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전자우편주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무단 수집을 거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