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자동차산업육성

 

지능형 전력구동 핵심부품 지원 기반구축

필요성

  • 미래자동차로의 기술변화는 울산 자동차 부품기업에게 생존문제와 직결되어 자동차 내연기관 부품기업 중심의 산업생태계 환기 시급
  • 산업계의 고부가가치 산업전환 요구에 따른 관련 부품의 개발‧ 평가‧상용화를 통합 지원할 수 있는 혁신생태계 구축 필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2. ~ 2024.(3년)
  • 주관/참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울산테크노파크,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대학교
  • 사업내용 : 센터구축, 자율주행차 개발 장비구축(12종), 미래차 애로기술 지원, 미래차 전환 전문인력양성 등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지원 2단계 사업

필요성

  • 지리적 근접성을 갖춘 지역의 혁신거점들을 연계하여 신산업 육성과 투자 활성화를 통해 지역 신성장거점으로 육성
  • 내연기관 자동차 산업 대상 미래차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역량강화로 미래차 산업 체계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3. 1. ~ 2027. 12.(5년간)
  • 사업주관 : R&D(울산TP, 기업), 비R&D(울산TP)
  • 사업내용
    • (R&D) 전력구동 모빌리티 기술개발
    • (비R&D) 네트워크, 기업유치, 인력양성, 사업화지원

UNIST 미래모빌리티연구센터 연구지원

필요성

  • 내연기관 중심의 울산 자동차부품기업의 미래자동차 기술전환 시급
  • 미래자동차 분야 원천기술 연구개발 컨트롤타워 부재
  • 미래자동차 기초 원천기술 확보로 지역 자동차산업의 기술고도화 및 지속성장 체계 마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0. 6. ~ 2025. 12.(5년)
  • 사업주관 : UNIST(울산과학기술원)
  • 사업내용
    • 미래차 기술개발 대응 연구과제 발굴
    • 글로벌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 협력 네트워크 구축
    • 미래차 분야별 핵심기술 고급인력 양성

고에너지응용기술 기반활용 미래차부품 제조역량 강화지원

필요성

  • 레이저 가공기술 도입 및 확산을 통한 선도국의 제조기술 혁신 전략과 후발국의 저임금 생산체계에 대한 주력 제조업 경쟁력 제고
  • 기술에 대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지역기업이 고가의 장비구축, 기술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를 해소할 지원정책 마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5. 4. ~ ’25. 12.
  • 위 치 : 고에너지정밀가공기술센터(중구 종가로 55)
  • 사업내용
    • (기술지원) 기업현장 공정진단, 애로기술 분석, 기술지도, 자문 등
    • (시제품제작) 차체경량화, 고감성 내장재, 표면 정밀가공기술 접목 시제품 제작 등
  • 주관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서비스 실증

필요성

  • 자일대우상용차의 조업 중단에 따른 부품 협력사들의 생존 위기 직면
  • 부품 협력사들의 생존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수소버스와 다른 신개념 버스 개발 추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1. 6. ~ ’25. 7.
  • 수행기관 : 울산테크노파크
  • 참여기관
    • 부품 협력사(에이팸, 엔지브이아이, 케이에이알 등)
    • 수요업체(서울버스, 차파트너스)
    • 튜닝인증 프로세스(한국교통안전공단)
  • 사업내용 :  수소 및 전기충전 동시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버스 시제품 개발, 실도로 실증, 핵심부품 연동 통합시스템 최적화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지원사업

필요성

  • 자율주행기술개발을 통한 지역기업 경쟁력 강화
  •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대를 대비한 지역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 발굴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5. 7. ~12.
  • 수행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참여기관
    • 우수AMS(울산), (주)비츠로시스
  • 사업내용​​​​​​​
    • (시범서비스) 자율주행차 시범서비스 운행
    • (기술고도화) 인프라 구축 및 관제시스템 고도화

정보담당자담당부서 : 주력산업과연락처 : 052-229-2865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44675)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Ulsa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 052-120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전자우편주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무단 수집을 거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