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화학 융합산업 기술개발
- 기간/주관 : 2015 ~ 2024 (10년)/ 한국화학연구원
- 사 업 비 : 245억원(국 200, 시 20, 민 25)
- 사업내용 : 자동차-화학 산업 간의 융합산업 강화 및 글로벌 수준의 소재 원천기술 개발·
- 추진상황 : 고기능성 바이오플라스틱 제조기술 확보 등
- 추진계획 : 자가치유 스마트 코팅소재, 이종소재간 점·접착 소재, 화학물질 검지용 감응소재 등 개발
화학산업 경쟁력강화 지원
필요성
울산 주력산업인 석유화학산업의 글로벌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략산업인 정밀화학산업, 신성장 동력산업 발굴을 통해 지속적 지원 필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3. 1. ~ 12. (2010년부터 매년추진)
- 사업주관 : 울산테크노파크,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내용
- 울산 화학소재산업 고도화 지원 사업
- 화학물질 중대사고 및 규제대응 위한 근접지원사업
- 석유&화학산업의 고도화 및 ICT융합 발굴사업
지역 첨단화학소재 기술개발 지원사업
필요성
자사·선진제품 등에 대한 전주기적 분석 지원을 통한 기업의 애로기술 해소 등 지역 첨단화학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필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3. 1. ~ 2023. 12. (2020년부터 추진)
- 사업주관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내용
- 기존 단편적 분석이 아닌 선진·기존제품 등에 대한 전주기적 분석을 통한 지역 중견·중소기업 첨단화학 소재 개발 지원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필요성
- 침체된 지역 주력산업인 화학산업을 미래 수요에 대응한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산업으로 전환하여 미래 주력산업화 추진 필요
-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소재 ·기술의 국산화 지원으로 전방산업의 국내외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국가 산업안보 강화
사업개요
- 위치/기간 : 울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내 / 2021. ~ 2023.
- 사업주관 : 울산테크노파크 정밀화학소재기술연구소
- 사업내용
- (기반구축) 지원센터 건축 및 장비 구축
- (플랫폼구축) 지역 혁신기관을 활용한 One stop 지원체계 구축
- (기업지원) 시제품제작, 시험분석 인증, 규제대응, 선행연구 등 지원
- (인력양성) 구축장비 전문인력 양성, 기업수요 기반 맞춤 교육
한국화학연구원 정밀화학 기술협력
필요성
- 대전, 수도권 등에서 개발된 혁신기술이 지역에 제대로 이전되지 않는 기술 동맥경화 및 소외현상 심각
- 울산지역 기업체 대부분 R&D 지원기관과 R&D 인력부족을 연구개발 및 시험생산의 최대 애로사항으로 지적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6년 ~ 매년 (사업기간 2년)
- 사 업 비 : 6.5억 원(국 1.5, 시 5) *사업과제당 3억원 내외, 2~4개 과제 지원
- 사업주관 : 한국화학연구원
- 지원분야 : 촉매, 고분자,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등 기술개발
울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
- 기간/사업비 : '21년 ~ '22년 / 375억원(국 200, 시 155, 민 20)
- 사업내용 : 바이오데이터 팜 구축·운영, 질환별 진단마커 개발(심혈관, 우울증, 복합만성질환 등), 감염병 발생 대응 플랫폼 구축
- 사업주관 : 울산정보산업진흥원
- 참여기관 : UNIST, 클리노믹스 등 15개 기관
- 위치/면적 : 울산산학융합지구, UNIST 일원 등 5개 지역(총 면적: 1,198㎢)
세포 간 신호교신에 의한 암 제어 기술개발
- 기간/사업비 : '18년 ~ '27년 / 72억원
- 사업내용 : 세포간 신호교신 제어기술과 게놈분석 기술을 융합한 암진단 기술개발
- 사업주관 : UNIST, ㈜클리노믹스
UNIST-WFIRM-UniBasel 생체장기모사 공동연구센터 운영
- 기간/사업비 : '18년 ~ '23년 / 29.5억원
- 사업내용 : 인공장기 분야 원천 기술 확보 및 기술사업화(사람의 장기를 모방한 생체칩 개발)
- 사업주관 : UNIST
희귀난치성 질환 면역억제 치료제 개발
- 기간/사업비 : '20년 ~ '25년 / 25억원
- 사업내용 : 면역억제 수지상세포 배양기술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등
- 사업주관 : 울산대학교
바이오화학소재 공인인증센터 구축
필요성
- 바이오화학산업은 석유화학 대체 미래산업으로 성장 가능성 높음
- 현재 국내 기업은 바이오함량 국내인증평가기관이 부재하여 해외 인증기관에서 검증을 받아 수출함으로써 국제 경쟁력 약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4. ~ 2022. 12.(57개월)
- 사업주관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내용 : 바이오제품 성분 및 함량분석 장비구축, 인력양성
- 사 업 비 : 169억원(국 99, 시 60, 민 10)
수요 맞춤형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화 및 실증
- 사업기간 : 2020. 4. ~ 2024. 12.(57개월)
- 사업주관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내용 : 생분해 속도조절 기술 개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필름 제조, 바이오플라스틱 원재료 대량생산, 시제품 15종 개발 및 실증, 생분해 평가 기술 개발, 바이오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DB 구축
- 사 업 비 : 297억원(국 179, 민 118)
폐플라스틱 새활용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기술 개발
- 사업기간 : 2020. 7. ~ 2027. 2. (80개월)
- 사업주관 : UNIST
- 사업내용 : 사용후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신개념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개발 및 생산을 위한 화공/바이오 융합 공정기술 개발
- 사 업 비 : 140억원(국 133, 시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