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필요성
태화강, 외황강 하류에 갈대가 많고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으로 먹이가 풍부하며 수질이 해마다 개선되어(BOD : '96년 11.3ppm → '19년 1.4ppm) 많은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음
앞으로도 더 많은 철새가 우리 지역을 찾아 올 수 있도록 철새도래지에 대한 서식 실태 조사, 기업체·환경단체 자율 책임 지역 지정 운영 등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쾌적한 조류 서식 여건을 조성, 생태계 다양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음
그간 추진 경위
- '98. 2. 11일, 태화강 하류를 포함한 조류 집단 도래 지역 5개소 298㏊를 집단도래보호구로 지정·관리
- '99. 8. 20일, 정부 조직 개편으로 조수 보호 및 수렵에 관한 업무가 산림청에서 환경부로 이관('99. 5. 24)됨에 따라 우리 시에서도 중앙정부와의 효과적인 업무 추진을 위하여 녹지공원과에서 환경정책과로 이관
- '99. 10월, 조수보호 관리 강화를 위하여 자연환경보전실천계획의 시책사업으로 포함 관리
- 2000 ~ 2006: 겨울 철새 먹이주기 행사 매년 실시
- '05. 2. 10 : 야생동식물보호법 제정 시행에 따라 조류 집단도래보호구 → 야생동물보호구역 변경
- 급속한 경제개발로 인하여 야생 동식물 점차 감소되고 자연생태계가 훼손되어 가고 있어 이를 보전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음
야생생물 보호구역 지정현황
야생생물 보호구역 지정현황표
구분 |
고시내용 |
소재지 |
설정면적 |
서식조수 |
계 |
산림 |
농경지 |
기타 |
중구 |
'03. 4. 17 ~ 해제시까지 |
중구 태화동 963-3외 5필지 |
0.744 |
- |
- |
0.744 |
백로, 논병아리, 흰죽지 |
남구 |
'09. 2. 27 ~ 해제시까지 |
남구 무거동 3외 48필지 |
1.546 |
- |
- |
1.546 |
붉은부리갈매기, 흰죽지, 백로 |
남구 |
'09. 2. 27 ~ 해제시까지 |
남구 선암동 42외 22필지 |
0.228 |
0.025 |
- |
0.203 |
왜가리, 흰뺨검둥오리 |
북구 |
'08. 5. 30 ~ 해제시까지 |
북구 명촌동 967-10외196필지 |
0.943 |
- |
- |
0.943 |
왜가리, 흰뺨검둥오리 |
관리 대책
- 실태 조사 및 현황도 작성
- 대상 지역 : 태화강, 외황강 등 주요 도래지
- 방법 : 시의 지침에 따라 구·군에서 종류 및 개수 등 조사
- 조치 계획 : 조사 결과에 따라 보호구역 재 지정 검토
- 기업체, 환경단체 등의 철새 보호 활동 적극 유도
- 야생생물보호역호 관리 자율 책임 지역 지정·운영
- 철새 먹이주기 활동 지원
- 쓰레기 퇴적물 제거 등의 자연 정화 활동 실시
- 태화강 하류 등 야생생물보호구역 상시 감시원 배치
- 시·구·군 공익 요원을 활용 상시 감시
- 자율 책임 지역 참여 기업체, 환경단체 회원을 활용
- 안내 표지판 정비
- 구·군별 야생동물보호구역에 대한 표지판 재정비
- 기관별 추진 사항
야생생물 보호구역 지정현황
야생생물 보호구역 지정현황표
시 |
구·군 |
기업체·환경단체 |
- 자율 책임지역 참여주체 선정
- 서식 실태 조사지침 작성
- 기업체 및 환경단체와 협조 체제 유지
- 명예야생동식물보호원증 발급·관리(구·군)
|
- 서식실태 조사 실시
- 보호·감시활동 실시
- 안내 표지판 정비
- 기업체, 환경단체의 보호활동 지원
|
- 철새 도래지 보호 활동 전개
- 보호·감시활동 실시
- 먹이주기 행사 협조
- 정화활동실시
|
야생동물 구조치료기관 현황
- 기관명 : 야생동물구조센터(개소일 : 2008. 4. 18.)
- 052-226-0434
- 소재지 : 울산광역시 남구 남부순환로 293번길 25-3(울산대공원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