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울산광역시

민원상담 해울이 챗봇
[대표홈페이지]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보건환경연구원, 일본뇌염 등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 시작
작성일자 2025.03.24
조회수 36
담당부서 보건환경연구원
담당자 이현주
담당자 전화번호 229-4697
첨부파일
내용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일본뇌염 등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 시작
3월 24일~11월 30일 축사, 공원 대상 병원체 감시 등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3월 24일부터 11월 말까지 감염병 매개 모기 감시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감시사업은 관내 도심과 공원, 축사에서 주 2회 모기를 채집해 감염병 매개 모기별 발생 감시 및 병원체 감염률을 조사한다.
특히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의 경우, 국내 최초 발견 시에는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고, 매개모기의 밀도가 50% 이상이면서 개체수가 500마리 이상일 경우에는 '경보'를 발령한다.
지난해의 경우 전국의 '일본뇌염 주의보'는 3월 30일, '일본뇌염 경보'는 7월 25일 발령됐으며, 울산에서는 6월 12일에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발견됐다.
울산시는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시 방역활동 강화 및 모기 물림에 대한 주의 등을 홍보할 예정이다.

이밖에 오는 5월부터는 자체 모기 감시 외 질병관리청 주관의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운영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남구보건소가 설치·운영하고 있는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 DMS)* 중 1대를 활용해 수행한다.
* 모기의 주활동시간대(저녁 6시~오전 5시)에 모기 유인제인 이산화탄소를 분사해 모기만을 채집하고 자동으로 계측하는 장비
심민령 보건환경연구원 원장은 “기후변화 및 해외 교류 증가로 모기매개 감염병 감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라며, “관련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모기매개 감염병으로부터의 시민 건강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울산지역에서 채집된 모기는 9종으로 총 1만 6,954마리였으며, 감염병을 매개하는 병원체는 검출되지 않았다. 작은빨간집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됐고(53%), 다음은 얼룩날개모기속(14%), 그 다음은 흰줄숲모기(13%)로 이들이 80%를 차지했다.
붙임 모기채집도구 1부. 끝.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관련사이트 모음

(44675)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해울이콜센터 평일 09:00~18:00 야간·공휴일 당직실 전환

대표전화 : 052-120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전자우편주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무단 수집을 거부합니다. Ulsa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4.2.6 ~ 202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