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울산광역시

민원상담 해울이 챗봇
[대표홈페이지]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 매개 진드기 및 병원체 감시 시작
작성일자 2025.04.08
조회수 40
담당부서 보건환경연구원
담당자 이현주
담당자 전화번호 229-4697
첨부파일
내용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 매개 진드기 및 병원체 감시 시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및 라임병 병원체 보유여부 조사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4월부터 11월까지 ‘감염병 매개 진드기 및 병원체 감시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작은소피참진드기,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등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과 라임병을 매개하는 진드기의 분포와 병원체 감염 유무를 조사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울산 관내 솔마루길 일원 4개 지점(초지, 무덤, 잡목림, 산길)에서 월 1회 채집하며, 채집된 진드기 중에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참진드기를 분류, 동정한다.
또 월별 발생 추이, 장소별 분포를 조사하며 종별, 성장 단계별로 유전자를 추출해 병원체 보유 유무를 확인한다.
지난해의 경우 총 433개체의 진드기가 채집됐으며, 주로 5월에서 7월 사이 가장 많이 채집됐고 장소별로는 초지 > 잡목림 > 무덤가 > 산길 순이었다. 또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라임병 병원체인 보렐리아속균은 5월 ~ 11월 사이 5차례 검출됐다.
심민령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참진드기는 주로 수풀이 우거진 곳에 서식하며 사람이나 동물이 지나가면 피부에 붙어 흡혈하기 때문에 잘 정비되지 않은 초지나 잡목림에는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며,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를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야외활동 후에는 진드기가 붙었는지 몸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목욕 또는 샤워를 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울산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는 4명이었고 라임병 환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참진드기의 활동이 왕성한 봄부터 가을까지 환자가 발생하며 고열, 구토, 설사, 혈소판‧백혈구 수치 감소 증상을 보이고 치사율이 약 20%에 달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끝.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관련사이트 모음

(44675)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해울이콜센터 평일 09:00~18:00 야간·공휴일 당직실 전환

대표전화 : 052-120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전자우편주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무단 수집을 거부합니다. Ulsa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4.2.6 ~ 2025.2.5